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1

랩뷰 For loop, While loop 차이-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랩뷰를 사용하다 보면 For loop와 While loop를 정말 많이 사용하죠? 둘 다 '반복문'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반복 횟수와 종료 조건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루프를 들어가고 빠져나가는 데이터의 인덱싱 방법에도 차이점이 있죠. 오늘은 기본 교재에서 주로 다루는 두 반복문의 차이와 더불어, 제가 직접 사용하면서 알게 된 팁들과 활용 방법까지 한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랩뷰를 사용해서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 공부중이신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1. For loop란? 반복 횟수가 지정된 반복 실행을 위한 구조입니다. 루프 상단 왼쪽의 'N'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카운트 터미널에 '해당 For loop를 몇 번 반복할지'를 입력해 주면.. 2022. 12. 8.
랩뷰 플랫 시퀀스 프레임 사이즈 조절-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제가 6년째 대학원에서 랩뷰를 사용하는 동안 모르고 답답해 하다가 최근에 깨달은 꿀팁을 하나 기록해두려고 합니다! 바로 '플랫 시퀀스'의 프레임 사이즈 조절에 관한 내용입니다. 플랫 시퀀스 구조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죠. 코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을 때에 에러 라인을 연결하는 방법 이외에 또 다른 방법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에러 라인을 연결한 실행 순서 설정에 비해 플랫 시퀀스를 활용하여 실행 순서를 설정하면, 하나의 프레임 안의 모든 실행이 완료되어야만 왼쪽에서 오른쪽 프레임으로 이동되어 코드가 실행됩니다. 에러 라인을 연결한 실행 순서 설정이 '하나 하나의 실행 순서'의 개념이라면, 플랫 시퀀스를 활.. 2022. 11. 19.
랩뷰 데이터 타입 1: 숫자형, 문자열, 불리언-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랩뷰 또한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합니다. 아마 대부분 프로그래머들에게 익숙한 데이터 타입들이라 이번 페이지는 쉽게 공부하실 수 있을 듯 합니다. 그럼 오늘은 숫자형, 문자열, 불리언 타입을 알아보겠습니다. 1. 숫자형 숫자형은 크게 소수점의 유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소수점이 있는 실수형 타입은 와이어와 터미널이 주황색 입니다. 실수형은 차지하는 메모리 사이즈에 따라 EXT, DBL 등 표현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숫자의 범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소수점이 없는 정수형 타입은 와이어와 터미널이 파란색 입니다. 색깔만 보고도 현재 데이터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수형의 경우 음수/양수/0을 모두.. 2022. 11. 18.
랩뷰 기본 용어 9. 디버깅 2-코드119 안녕하세요! 오늘도 박사과정 모닝이에요. 브레이크 포인트에 이어 오늘은 디버깅에 관련된 도구들을 마지막으로 훑어보려 합니다! 1. 단계별 실행 단계별 실행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을 노드별로 한 단계씩 실행해볼 수 있습니다. 실행 순서도 확인해볼 수 있고, 어떤 노드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블록 다이어그램의 상단 도구 모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노드 내부로 들어가기: 단계별 실행 도중 Sub vi를 만날 경우, Sub vi 내부로 들어가서 단계별로 실행합니다. (왼쪽) - 노드 건너뛰기: Sub vi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건너뜁니다. (가운데) - 노드 벗어나기: Sub vi를 벗어나 상위 vi로 돌아오거나, 단계별 실행을 끝낼 때 사용합니다. (오른쪽) 2. 와이어 값 유지 마찬가지로.. 2022.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