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1 [C언어] 자료형 -코드 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c언어에서의 자료형의 개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료형의 개념 자료형(data type)이란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한 공간인 변수를 선언할 때, 데이터의 종류와 이를 저장 할 메모리의 크기를 지정하는 단위를 의미합니다. C 언어에서 자료형을 선언한다는 것은,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메모리 공간을 지정하는 뜻입니다. 자료형의 최소 단위는 1바이트이며, 1바이트는 8비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1바이트는 8개의 0 또는 1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1바이트를 꽉 채워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할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맞게 변수의 자료형을 선언하면 그에 따라 메모리의 저장 공간이 할.. 2022. 12. 17. [C언어] 변수 초기화 1 - 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C 언어에서 변수를 사용할 때에는 변수를 초기화 해야 합니다. 변수 초기화에 대해 간단히 추가적인 내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변수 초기화의 필요성 C언어에서 사용되는 변수는 함수 밖에서 선언되는 변수인지, 함수 안에서 선언되는 변수인지에 따라 지역 변수(Local variables)와 전역 변수(Global variables)로 나뉩니다. 변수의 종류에 따라 초기화가 기본적으로 되어 있느냐 여부가 달라집니다. 1. 전역 변수의 경우 초기화를 하지 않아도 기본값을 가집니다. 2. 지역 변수의 경우 초기화를 하지 않으면 쓰레기값(garbage)을 가지며, 최신 버전의 Visual studio에서는 초기화를 하지 않으면 경고 표시가 뜹니다. 따라서, 지역 변수는 .. 2022. 12. 17. [C 언어] 식별자, 예약어, 변수, 변수 이름 - 코드 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변수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랩뷰를 사용할 때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아무것도 모르는 채로 그냥 사용했는데, C언어는 강의를 듣다 보니 보다 자세히 알게 되었습니다! 1. 식별자 식별자(Identifier)는 프로그램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명령어 이외에, 프로그래머가 필요에 따라 선언하는 변수의 이름이나 사용자 정의 함수를 의미합니다. 식별자는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다른 명령어와 구별하여 명령을 수행합니다. C언어의 예약어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식별자를 선언할 때 지켜야 하는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알파벳 대/소문자, 숫자, '_' (언더바) 사용 가능 알파벳 대문자와 소문자는 서로 다른 문자로 취급함(아스키 코드.. 2022. 12. 14. 아스키코드, ASCII -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이번 아스키코드 포스팅까지 마치면 C언어 공부중인 진도까지 따라잡네요! 힘내서 마무리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아스키(ASCII) 코드란? 아스키(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코드란 미국 표준 협회(ANSI)에서 제시한 표준 코드 체계입니다. C언어에서는 아스키코드를 사용하여 문자를 숫자로 표현합니다. 이때 중요한 포인트는 C언어에서는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서로 아예 다른 문자로 취급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아스키 코드도 각자 다릅니다. 2. 아스키 코드 아스키코드는 0~127까지의 숫자에 0~9까지의 숫자, 대문자 알파벳 A to Z, 소문자 알파벳 a to z를 하나씩 대응시킵니다... 2022. 12. 13.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