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1 랩뷰 기본 용어 4. 함수 팔레트 - 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프런트패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컨트롤 팔레트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프런트패널과 짝꿍인 블록다이어그램에서는 어떤 팔레트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 프런트패널의 컨트롤 팔레트에서는 입/출력을 담당하는 컨트롤/인디케이터를 선택할 수 있었다면, 블록다이어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 팔레트에서는 말 그대로 '함수'들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랩뷰의 장점을 소개한 글에서, 랩뷰에서 제공하는 방대한 양의 검증된 소스 코드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이 소스 코드들이 모여 있는 팔레트입니다. 1. 함수 팔레트 랩뷰에서 제공하는 소스 코드들이 모여있는 곳으로, 블록다이어그램에서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펼쳐볼 수 있습니다. 컨트롤 팔레트와 마찬가지로 상단의 돋보기 모양의 검색 아.. 2022. 6. 21. 랩뷰 기본 용어 3. 랩뷰 컨트롤 팔레트 - 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이 글 부터는 랩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팔레트들에 관해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처음에 따로 배우지도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랩뷰를 사용하던 시절엔, 컨트롤 팔레트와 함수 팔레트의 명확한 차이를 구분하지 못해서 필요한 것들이 어디에 있는지 바로 찾지 못 했습니다. 그래서 프런트패널과 블록다이어그램을 왔다갔다 하며 우클릭을 한번씩 해 보고는 필요한 것을 못 찾으면 다시 이것을 반복하는 바보같은 짓도 했었죠. 그리고 도구 팔레트는 부끄럽게도 그 기능을 제대로 알고 활용하기 시작한지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간단한 랩뷰 기초 교육을 받을 때에도 생략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께서는 처음부터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시고, 저와 같은 시간 낭비를 하지 않으시길 바랍니.. 2022. 6. 21. 랩뷰 기본 용어 2. 랩뷰 프로젝트 - 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랩뷰 기본 용어 시리즈의 두번째로, 랩뷰 프로젝트에 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프로젝트는 체계적인 프로그래밍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니 잘 읽어주세요! 1. 랩뷰 프로젝트 프로젝트는 랩뷰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 개발의 결과가 VI 하나가 아닌 여러 요소를 포함할 때에 이용하면 좋습니다.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VI, ctl 등 랩뷰를 통해 생성할 수 있는 파일뿐만 아니라 엑셀, 파워포인트, 이미지, PDF, 심지어는 python으로 생성한 코드 등등 랩뷰가 아닌 다른 곳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확장자의 파일을 체계적으로 함께 관리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완성한 후, 실행 파일(.exe)와 설치 파일 또한 이 프로젝트를 통해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잘 관.. 2022. 6. 17. 랩뷰 기본 용어 1. VI, 프런트패널, 블록다이어그램 - 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이번 글부터는 랩뷰를 공부할 때, 혹은 직접 사용할 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들에 관해서 시리즈로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명확한 용어를 알고 있으면, 어떠한 자료를 찾아보더라도 더 효율적으로 습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CLAD 등의 랩뷰 인증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용어를 명확하게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가장 기본적인 용어들에 관해서 알아봅시다! 1. VI(Virtual Instrument), 프런트패널, 블록다이어그램 VI는 랩뷰의 가장 대표적인 파일 확장자입니다. VI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공간인 프런트패널과, 소스 코드를 통해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블록다이어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랩뷰에서 새 파일 만들기를 통해 새.. 2022. 6. 17. 이전 1 ··· 17 18 19 20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