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료형4

[C언어] 정수와 정수 나누기, 정수와 실수 연산, 캐스팅 - 코드 119 정수와 정수의 연산 강제 캐스트 정수와 실수의 연산, 자동 캐스트 1. 정수와 정수의 연산 정수와 정수를 나눗셈 하여 실수 결과가 나올 때는 어떻게 출력될까? 예를 들어 5를 2로 나눈다면, 실제 정답은 2.5이다. 그러나 C에서는 결과값을 실수형 변수로 선언하더라도, 정수와 정수의 연산 결과값으로 실수를 출력할 수 없다. int num1=0, num2=0; float result=0.0; result = num1 / num2; 위의 코드와 같이 입력하고 실행 하더라도 결과는 2.00000이 된다. 왜냐하면 오른쪽의 정수형 끼리의 연산 결과는 항상 정수형이고, 정수형의 결과(2)를 실수로 표현하는 것이 마지막 줄의 연산이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캐스트(cast)가 필요하다. 2. 캐스트(Ca.. 2023. 1. 10.
[C언어]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 코드 119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1. 오버플로우(Overflow) 정의: 변수에 선언한 자료형이 정상적으로 처리하는 유효 범위의 최댓값보다 더 큰 값이 입력되어, 유효 범위의 최솟값으로 실행 결과가 출력되는 현상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면 자료형의 유효 범위의 최솟값부터 다시 시작하여 연산됨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더라도 별도의 에러 메세지가 표시되지 않고, 실행 결과도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 처럼 보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함 예를 들어, signed short 형의 유효 범위는 -32,768 ~ +32,767 이기 때문에 signed short형 변수에 32767+8을 입력하면 최솟값인 -32,768부터 다시 시작하여 -32,761이 출력됨 오버플로우 해결 방법: 표현하고자 하는 범위의 숫자를 포함하는 자료형을 선택하여 사용해.. 2023. 1. 10.
[C언어] 정수형 변수 - 코드 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C언어의 자료형 중, 정수형 변수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정수형 자료형 종류 정수형 자료형은 0을 포함하여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를 다룹니다.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에는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정수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최솟값과 최댓값을 고려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셩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래는 C 언어에서 제공하는 정수형 자료형의 종류와 유효 범위를 정리한 것입니다. 데이터 크기 자료형 부호 최솟값 최댓값 2 byte short signed short -32,768 32,767 unsigned 0 65,535 4 byte int signed int -2,147,483,648 2,147,483,647 unsigned int 0 4,294,9.. 2022. 12. 17.
[C언어] 자료형 -코드 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c언어에서의 자료형의 개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료형의 개념 자료형(data type)이란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한 공간인 변수를 선언할 때, 데이터의 종류와 이를 저장 할 메모리의 크기를 지정하는 단위를 의미합니다. C 언어에서 자료형을 선언한다는 것은,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메모리 공간을 지정하는 뜻입니다. 자료형의 최소 단위는 1바이트이며, 1바이트는 8비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1바이트는 8개의 0 또는 1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1바이트를 꽉 채워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할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맞게 변수의 자료형을 선언하면 그에 따라 메모리의 저장 공간이 할.. 2022.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