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18

[C언어] 실수형 상수 - 코드 119 ▶실수형 상수 실수형 상수: float형 또는 double 형으로 선언한 변수에 대입하는 상수 실수형 상수는 소수점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수에 따라 변함. 따라서 부동(floating) 소수점 상수라고도 불림 실수형 상수의 지수형 표기 실수형 상수를 지수형으로 표기할 때에는 e 또는 E를 사용해 유효 숫자를 나타내는 가수부와 자릿수를 나타내는 지수부를 분리해서 표현함 ▶float형 실수형상수 float형 실수형 상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에는 32비트가 할당됨. 이 32비트는 부호 비트 1비트, 지수부 8비트, 가수부 23비트로 구성됨 float f_const; f_const = 123.456F; ▶double형 실수형상수 double형 실수형 상수는 메모리 공간을 가수부와 지수부로 구분하여 실수 형태.. 2023. 4. 18.
[C언어]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 코드 119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1. 오버플로우(Overflow) 정의: 변수에 선언한 자료형이 정상적으로 처리하는 유효 범위의 최댓값보다 더 큰 값이 입력되어, 유효 범위의 최솟값으로 실행 결과가 출력되는 현상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면 자료형의 유효 범위의 최솟값부터 다시 시작하여 연산됨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더라도 별도의 에러 메세지가 표시되지 않고, 실행 결과도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 처럼 보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함 예를 들어, signed short 형의 유효 범위는 -32,768 ~ +32,767 이기 때문에 signed short형 변수에 32767+8을 입력하면 최솟값인 -32,768부터 다시 시작하여 -32,761이 출력됨 오버플로우 해결 방법: 표현하고자 하는 범위의 숫자를 포함하는 자료형을 선택하여 사용해.. 2023. 1. 10.
[C언어] 정수형 변수 - 코드 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C언어의 자료형 중, 정수형 변수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정수형 자료형 종류 정수형 자료형은 0을 포함하여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를 다룹니다.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에는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정수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최솟값과 최댓값을 고려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셩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래는 C 언어에서 제공하는 정수형 자료형의 종류와 유효 범위를 정리한 것입니다. 데이터 크기 자료형 부호 최솟값 최댓값 2 byte short signed short -32,768 32,767 unsigned 0 65,535 4 byte int signed int -2,147,483,648 2,147,483,647 unsigned int 0 4,294,9.. 2022. 12. 17.
[C언어] 변수 선언과 초기화 - 코딩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c 언어에서 변수 선언과 초기화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변수 선언 변수 선언이란, 변수 이름 앞에 자료형을 선언하여 그 변수가 어떤 데이터 값을 저장할 것인지 컴파일러에게 미리 알리는 것을 말합니다.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변수 선언을 할 때 사용 목적과 유효 범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자료형을 지정해야 합니다. 여기서 유효 범위란 변수가 저장할 수 있는 숫자의 범위입니다. 아래는 변수 선언의 예시입니다. int a; double b; char c; 각각 정수형 변수 a, 소수점형 변수 b, 문자열형 변수 c를 선언한 것입니다. 이렇게 변수를 선언하면 지정한 데이터 타입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메모리 공간이 확보되고, 이 메모리 공간에 변.. 2022.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