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4

[Python] 자료구조 - collections 모듈 - deque [Collections 모듈] Collection 모듈은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내장 자료구조 모듈입니다. Collections 모듈은 앞선 포스팅에서 소개한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을 확장하여 제공합니다. 제공하는 모듈로는 deque, OrderedDict, defaultdict, Counter, namedtuple 등이 있습니다. import collection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from collections import OrderedDict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from collections import namedtuple [deque 모듈] '데크'라고 읽는 d.. 2023. 11. 10.
[Python] 자료구조 - 세트(set) 세트(set) 파이썬에서의 세트는 우리가 중/고등학생 때 배웠던 '집합'과 같은 개념입니다. 세트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만약 중복된 요소를 입력하면, 세트는 자동으로 중복된 요소를 제거합니다. 세트의 항목 간에는 순서가 없습니다. 따라서 세트는 인덱싱이나 슬라이싱과 같은 시퀀스의 함수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in 연산자를 활용해 어떠한 항목이 세트에 원소로 존재하는지 검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입력한 데이터의 순서와, for 반복문을 이용해 세트의 각 항목에 접근하는 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세트는 모든 요소들을 해싱(hashing)을 사용해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hashing: 각 개체에 식별할 수 있는 코드를 부여하여 객체를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 해쉬 코드는 변경되면 안 됩니다. 만약 .. 2023. 10. 30.
[Python] 자료구조 - 스택(stack), 큐(queue)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에서 많이 사용되는 자료구조 중 스택과 큐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택과 큐는 비슷한 듯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아래에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택(Stack) LIFO(Last In First Out): 말 그대로 마지막에 들어온 것이 가장 먼저 나간다. 즉, 들어온 순서의 반대로 나간다. 스택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푸시(push),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팝(pop)이라고 한다. 스택 구현 파이썬에서 스택을 구현할 때에는 리스트를 사용합니다. 리스트를 만든 다음, append() 함수를 사용에 값을 저장하고 pop() 함수를 사용해 값을 추출합니다. 이때, pop() 함수를 사용하면 빠져나온 값이 반환됩니다. a = [1, 2, 3, 4, 5] a.app.. 2023. 10. 29.
[Python] 파이썬 자료구조 종류 자료구조의 개념 자료구조(data structure): 데이터의 특징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특징이 있는 정보를 메모리에 효율적으로 저장 및 반환하는 방법으로써,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를 만든다고 할 때 전화번호와 전화번호의 주인 이름을 묶어서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그리고 어떤 숫자의 나열을 순서대로 저장했다가 저장된 순서대로 불러와야 할 때도 있고, 혹은 저장한 순서의 반대로 불러와야 할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를 고려하여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해야 효과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자료구조의 종류 자료구조의 종류만 먼저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자료구조 특징 리스트(list) 여러 개의 .. 2023.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