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1

[C언어] 스택 메모리 구조, LIFO, FIFO - 코드 119 스택 메모리 구조 LIFO(후입 선출) FIFO(선입 선출) 1. 스택 메모리 구조 스택(Stack):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메모리의 기본 구조 중 하나. 메모리에 먼저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나중에 삭제되는 후입 선출(LIFO) 구조. 스택은 제한된 용량을 가지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스택이 가득 찼을 때 삽입 연산으로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면 오버플로우 상태가 됨. 제거 연산이 스택의 맨 위 요소를 제거하면 그 아래에 있던 요소가 맨 위로 이동함. 스택 메모리가 비어 있는 상태가 되면, 언더플로우 상태가 됨. A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할 때, A 함수가 B 함수를 포함하고, B 함수 내부에 C 함수가 포함되어 있다면 메모리에 입력된 순서는 A-B-C겠지만, 호출되어 실행되고 사라지는 순서는 C-B-A임. 2... 2023. 1. 10.
[C언어]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 코드 119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1. 오버플로우(Overflow) 정의: 변수에 선언한 자료형이 정상적으로 처리하는 유효 범위의 최댓값보다 더 큰 값이 입력되어, 유효 범위의 최솟값으로 실행 결과가 출력되는 현상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면 자료형의 유효 범위의 최솟값부터 다시 시작하여 연산됨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더라도 별도의 에러 메세지가 표시되지 않고, 실행 결과도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 처럼 보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함 예를 들어, signed short 형의 유효 범위는 -32,768 ~ +32,767 이기 때문에 signed short형 변수에 32767+8을 입력하면 최솟값인 -32,768부터 다시 시작하여 -32,761이 출력됨 오버플로우 해결 방법: 표현하고자 하는 범위의 숫자를 포함하는 자료형을 선택하여 사용해.. 2023. 1. 10.
[C언어] 정수형 변수 - 코드 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C언어의 자료형 중, 정수형 변수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정수형 자료형 종류 정수형 자료형은 0을 포함하여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를 다룹니다.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에는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정수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최솟값과 최댓값을 고려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셩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래는 C 언어에서 제공하는 정수형 자료형의 종류와 유효 범위를 정리한 것입니다. 데이터 크기 자료형 부호 최솟값 최댓값 2 byte short signed short -32,768 32,767 unsigned 0 65,535 4 byte int signed int -2,147,483,648 2,147,483,647 unsigned int 0 4,294,9.. 2022. 12. 17.
[C언어] 변수 선언과 초기화 - 코딩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c 언어에서 변수 선언과 초기화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변수 선언 변수 선언이란, 변수 이름 앞에 자료형을 선언하여 그 변수가 어떤 데이터 값을 저장할 것인지 컴파일러에게 미리 알리는 것을 말합니다.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변수 선언을 할 때 사용 목적과 유효 범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자료형을 지정해야 합니다. 여기서 유효 범위란 변수가 저장할 수 있는 숫자의 범위입니다. 아래는 변수 선언의 예시입니다. int a; double b; char c; 각각 정수형 변수 a, 소수점형 변수 b, 문자열형 변수 c를 선언한 것입니다. 이렇게 변수를 선언하면 지정한 데이터 타입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메모리 공간이 확보되고, 이 메모리 공간에 변.. 2022.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