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1

[Python] 함수(Function) [함수] 함수: 특별한 기능을 담당하는 명령어들의 모임 abs(): 절댓값 계산 round(): 소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max(): 매개변수 값들 중 최댓값을 반환 min(): 매개변수 값들 중 최솟값을 반환 sqrt(): 제곱근 반환 input(): 사용자로부터 키보드에서 입력을 받는 함수 >>>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이름을 입력하세요: >>>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이름을 입력하세요: 코딩코딩 >>> name '코딩코딩' 2023. 10. 5.
[Python] 수식, 연산자 [수식, 연산자] 수식: 피연산자들과 연산자의 조합 연산자(Operator):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 피연산자(Operand): 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 산술 연산자 연산자 기호 example result 덧셈 + 5+4 9 뺄셈 - 5-4 1 곱셈 * 5*4 20 지수 ** 2**3 8 나눗셈(몫) // 5//4 1 나눗셈(진짜 나눗셈) / 5/4 1.25 나머지 % 5%4 1 연산자 우선순위: 지수(**) → 곱셈, 나눗셈, 나머지 → 덧셈, 뺄 2023. 10. 5.
[Python] 변수, 상수, 주석 [변수] 변수: Variable 값을 저장하는 공간. 값을 담아두는 상자라고 생각하면 쉬움 값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쓸 수 있고, 값을 바꿀 수도 있음 변수는 메모리에 저장됨 변수 이름 = 값 등호(=): 대입 연산자로서, 유일하게 우측에서 좌측으로 읽는다.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 같다는 의미가 아님! 할당문/대입문(Assignment statemet):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문장 변수에 저장된 문장을 불러오는 두 가지 방법: 변수 이름만 입력하고 enter, print(변수이름)+enter >>> num = 20 >>> num 20 >>> print(num) 20 생성된 변수에는 얼마든지 다른 값을 저장할 수 있음(덮어쓰기) >>> num = 20 >>> num = 30 >>> n.. 2023. 10. 5.
[C언어] double형 변수 입출력, 지수형 출력 - 코드 119 ▶double형 변수 입출력 double형으로 선언된 변수는 입력(scanf_s)을 받을 때에 형식 지정자를 %lf로 지정해야 함 출력 시에는 %f, %lf 모두 상관 없음 실수형 상수를 출력할 때 자릿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double형은 16자리까지 표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6자리까지만 출력됨 16자리까지 모두 표시하고 싶으면 반드시 자릿수를 지정해야 함 #include int main(void) { double d_num=0.0; printf("실수형 상수 입력: "); scanf_s("%lf", &d_num); printf("lf로 출력할 때의 값: %.16lf\n", d_num); printf("f로 출력할 때의 값: %.16f\n", d_num); printf("지수형(e) 출력: %e\n".. 2023.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