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1

[Python] 참조값에 의한 인수 전달 - call by value, call by reference 1. call by value 함수를 호출할 때 변수를 전달하는 경우가 있음 이때 함수에 전달되는 것은 변수가 가지는 '값'임 이 값만 복사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변수 자체가 가지는 값은 이 값이 함수에 전달되어 여러가지 계산 과정을 거치며 변형되더라도 함수 바깥의 변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함 def plusNum(n): n=n+1 k = 10 print('k=', k) plusNum(k) print('k=', k) 위와 같이 함수를 정의하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출력됨 >>> k= 10 >>> k= 10 이러한 원리를 값에 의한 호출(call by value)라고 함 문자열을 함수에 전달해도 마찬가지임 이것은 파이썬에서 숫자나 문자열이 변경 불가능한 객체(immutable object)이기 때문임.. 2023. 10. 10.
[Python] 함수의 인수, 매개변수, 반환값 1. 인수(arguments)와 매개변수(parameter)의 차이점 인수(arguments): 호출 프로그램에 의해 함수에 실제로 전달되는 '값' 매개변수(parameter): 이 값을 전달받는 '변수' 따라서 함수가 호출될 때 마다 인수는 달라질 수 있음 매개변수의 개수에 맞춰 정확한 개수의 인수를 함수에 전달해야 함 2. 반환값(return value) 함수가 호출한 곳으로 반환하는 작업의 결과값 수식의 계산 값을 변환하려면 return 문장 다음에 수식을 써주면 됨 파이썬에서는 함수가 값을 반환하지 않으면 None이라는 특별한 값을 반환함. 'None은 어떤 객체도 참조하지 않는다'는 의미 그렇다면 반환값을 꼭 반환해야 할까? 아래의 경우와 같이 값을 반환하지 않는 함수도 있다. def print.. 2023. 10. 10.
[Python] 함수 [함수] 함수(function):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모음 함수는 작업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음 이때, 함수가 받는 데이터를 매개변수, 인자값, parameter, arguments 등으로 부름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작업의 결과를 호출한 곳으로 반환함 이대, 반환하는 값을 return 값, 반환값 이라고 함 함수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메서드(메소드, method) 라고 부름 [함수의 선언 및 구현] 함수의 문법 def 함수이름 (매개변수 1, 매개변수 2): 문장 1 문장 2 return 반환값 def: 함수를 정의할 것임을 나타내는 선언 윗줄을 '선언부'라고 함 선언부 아래에 블록으로 들어가 있는 문장들을 '구현부'라고 함 함수의 호출: 함수를 호출할 때에는 함수.. 2023. 10. 10.
랩뷰 배열 차원, 2D, 3D 랩뷰 초보자 시절 가장 헷갈렸던 것이 있습니다. 기초를 모른 채로 도움말을 읽어 가며 이런 저런 함수를 사용하는데, 함수에서 배열을 입력 받을 때 '차원'이라고도 했다가, 'D(Dimension)'이라고도 했다가. 3차원 함수를 입력하라길래 배열 차수를 두번 늘려서 입력했는데 틀렸다고 나오고... 도대체 문제가 뭐였을까요? 이유는, 랩뷰에서는 '차원'과 'Dimension'을 조금 엄격하게 다른 의미로 구분하기 때문입니다.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죠! [차원] 랩뷰에서 배열의 '차원'이라고 하면, 단순히 원소의 갯수를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조금 더 수학적으로 이야기하면 좌표계의 축의 갯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1차원) 우리가 일직선에서 원점을 설정하고, 1, 2, 3, 4, ... 이런 식으로 원점으로부터.. 2023. 10.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