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랩뷰 배열 차원, 2D, 3D

by 박사과정 모닝 2023. 10. 9.
반응형

랩뷰 초보자 시절 가장 헷갈렸던 것이 있습니다. 기초를 모른 채로 도움말을 읽어 가며 이런 저런 함수를 사용하는데, 함수에서 배열을 입력 받을 때 '차원'이라고도 했다가, 'D(Dimension)'이라고도 했다가. 3차원 함수를 입력하라길래 배열 차수를 두번 늘려서 입력했는데 틀렸다고 나오고... 도대체 문제가 뭐였을까요?

 

이유는, 랩뷰에서는 '차원'과 'Dimension'을 조금 엄격하게 다른 의미로 구분하기 때문입니다.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죠!

 

[차원]

랩뷰에서 배열의 '차원'이라고 하면, 단순히 원소의 갯수를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조금 더 수학적으로 이야기하면 좌표계의 축의 갯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1차원) 우리가 일직선에서 원점을 설정하고, 1, 2, 3, 4, ... 이런 식으로 원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점을 표시한다면 이는 X축 하나만 가지는 좌표계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배열에서 원소 하나만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점이지요. 이게 랩뷰에서 1차원 입니다. (2차원) 이제 평면을 생각해 봅시다. X 축과 Y 축이 있고, 평면상의 한 점을 나타내려면 (x, y)의 두 개 원소가 필요합니다. 이게 랩뷰에서 2차원입니다. (3차원)  3차원은 X, Y, Z 축을 가지는 3차원 공간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랩뷰의 어떤 함수에서 'n차원 배열'을 입력으로 받는다고 하면 원소를 n개 가지는 배열을 넣어 달라는 뜻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1D, 2D]

그렇다면 랩뷰에서 Dimension은 어떤 걸까요? 단순합니다. 1D는 행 또는 열만 있는 한줄짜리 배열이고, 2D는 행과 열을 모두 가지는 배열입니다. 3D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페이지(page)라는 명칭으로 부릅니다. 

배열 컨트롤이나 상수에서 우클릭을 하면 보이는 '차원 추가' 또는 '차원 제거'를 클릭해 Dimension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하필 명칭을 '차원'이라고 붙여 놓아서 우리를 헷갈리게 합니다.

 

이제 이 글을 보신 분들은 랩뷰의 함수에서 도대체 어떤 배열을 넣으라는 건지 헷갈리지 않겠죠? 아주 좋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