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Python] 변수, 상수, 주석

by 박사과정 모닝 2023. 10. 5.
반응형

[변수]

  • 변수: Variable
  • 값을 저장하는 공간. 값을 담아두는 상자라고 생각하면 쉬움
  • 값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쓸 수 있고, 값을 바꿀 수도 있음
  • 변수는 메모리에 저장됨
  • 변수 이름 = 값
  • 등호(=): 대입 연산자로서, 유일하게 우측에서 좌측으로 읽는다.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 같다는 의미가 아님!
  • 할당문/대입문(Assignment statemet):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문장
  • 변수에 저장된 문장을 불러오는 두 가지 방법: 변수 이름만 입력하고 enter, print(변수이름)+enter
>>> num = 20
>>> num
20
>>> print(num)
20
  • 생성된 변수에는 얼마든지 다른 값을 저장할 수 있음(덮어쓰기)
>>> num = 20
>>> num = 30
>>> num
30
  • 변수에는 다른 변수의 값을 저장할 수 있음
  • 변수에는 다른 변수들 사이의 수식 등을 저장할 수 있음
  • 변수에는 숫자 뿐만 아니라 문자열도 저장할 수 있음
    • 문자열은 반드시 ' '(싱글 코테이션)이나 " "(더블 코테이션) 안에 작성해야 함
  • 다른 언어들과 달리 파이썬에서는 모든 것이 객체(Object)로 구성되어 있음
    • 따라서 변수에는 직접적으로 '값 자체'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값이 실제로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의 주소'가 저장됨
    •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변수에 정수를 저장했다가, 다시 실수를 저장하고, 다시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음
    • 어떤 자료형을 저장하더라도 결국 변수에는 '객체의 주소'가 저장되는 것은 똑같기 때문
    • 엄밀히 말해, 파이썬에서 변수는 '참조 변수'임
  • 변수 이름 규칙
    • 소문자와 대문자는 구분됨
    • 변수의 이름은 영문자, 숫자, 밑줄(_)만 사용 가능
    • 변수 이름 중간에 공백 사용 불가능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 myName (camel 기법), my_name (snake 기법)

[상수]

  • 상수(constant): 한번 값이 결정되면 변하지 않는 변수
  • 상수의 이름은 통상 대문자로 작성하는 것이 관례임

[주석]

  • 주석(Command)
    • 소스 코드에 붙이는 설명글
    • 파이썬에서 주석은 문장 가장 앞에 #을 붙이면 됨
반응형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리스트(List)  (0) 2023.10.06
[Python] 문자열(String)  (0) 2023.10.06
[Python] 자료형  (0) 2023.10.06
[Python] 함수(Function)  (0) 2023.10.05
[Python] 수식, 연산자  (0) 2023.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