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코딩13

랩뷰 데이터 타입 1: 숫자형, 문자열, 불리언-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랩뷰 또한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합니다. 아마 대부분 프로그래머들에게 익숙한 데이터 타입들이라 이번 페이지는 쉽게 공부하실 수 있을 듯 합니다. 그럼 오늘은 숫자형, 문자열, 불리언 타입을 알아보겠습니다. 1. 숫자형 숫자형은 크게 소수점의 유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소수점이 있는 실수형 타입은 와이어와 터미널이 주황색 입니다. 실수형은 차지하는 메모리 사이즈에 따라 EXT, DBL 등 표현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숫자의 범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소수점이 없는 정수형 타입은 와이어와 터미널이 파란색 입니다. 색깔만 보고도 현재 데이터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수형의 경우 음수/양수/0을 모두.. 2022. 11. 18.
랩뷰 기본 용어 6. 컨트롤, 인디케이터, 상수, 터미널, 노드 - 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랩뷰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만날 친구들을 가져왔습니다. 바로 컨트롤, 인디케이터, 상수, 터미널, 노드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이기 때문에 더더욱 이들의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컨트롤 랩뷰에서의 입력을 컨트롤이라고 합니다. 어떠한 함수에 값을 입력해줄 때에 우리는 이 컨트롤에 값을 입력하고, 컨트롤을 함수에 와이어링 함으로써 함수에 값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은 대부분 프런트패널에서 밝은 색의 상자로 나타납니다. 2. 인디케이터 랩뷰에서의 출력을 인디케이터라고 합니다. 계산을 하거나, 통신을 하는 등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를 실행하고 나면 그 실행의 결과가 출력됩니다. 이때 해당 함수에 인디케이터를 연.. 2022. 6. 23.
랩뷰 기본 용어 5. 도구 팔레트 - 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언제 닉네임을 공학박사 모닝으로 바꿀 수 있을까요... 포닥 모닝으로 닉네임을 변경하는 날이 오지 않길 바라며, 컨트롤 팔레트와 함수 팔레으테 이어 도구 팔레트에 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도구 팔레트 도구 팔레트는 '마우스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팔레트입니다. 랩뷰 기초 강의를 수강할 때에도 한번도 도구 팔레트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가, 최근 랩뷰 심화 공부를 위해 대형 프로젝트를 따라서 제작해보는 책을 공부하며 처음 사용해 보게 되었습니다. 도구 팔레트는 블록 다이어그램에서 [쉬프트 키+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실행할 수 있습니다. 또는 상단바의 [파일 >보기>도구 팔레트]를 클릭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2022. 6. 21.
랩뷰 기본 용어 1. VI, 프런트패널, 블록다이어그램 - 코드119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이번 글부터는 랩뷰를 공부할 때, 혹은 직접 사용할 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들에 관해서 시리즈로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명확한 용어를 알고 있으면, 어떠한 자료를 찾아보더라도 더 효율적으로 습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CLAD 등의 랩뷰 인증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용어를 명확하게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가장 기본적인 용어들에 관해서 알아봅시다! 1. VI(Virtual Instrument), 프런트패널, 블록다이어그램 VI는 랩뷰의 가장 대표적인 파일 확장자입니다. VI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공간인 프런트패널과, 소스 코드를 통해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블록다이어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랩뷰에서 새 파일 만들기를 통해 새.. 2022.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