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ython33

[Python] 리스트 리스트(List) 리스트: [ ] 안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리스트 = [ 값1, 값2, ... ] 리스트에 값 추가: append() num = [1, 2, 3] num.append(4) print(num) # [1, 2, 3, 4] 리스트의 각 원소는 '순서=인덱스'를 가짐. 따라서 순서와 관련된 연산이 가능함 파이썬의 리스트는 다른 언어의 배열과 유사함 리스트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지 않음. 변경 가능한 객체임 리스트에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 타입 원소를 함께 저장할 수 있음 List = [1, 2, 'apple', [1, 2, 3], (4, 5)] 위와 같이 숫자형, 문자열, 리스트, 튜플 등 다양한 객체를 리스트의 원소로 저장 가능 리스트 요소, 인덱싱 리스트 요소(array .. 2023. 10. 13.
[Python] 모듈, 함수를 사용한 프로그램 설계 [모듈] 모듈(module): 함수나 변수들을 모아 놓은 파일 모듈 안에 있는 함수들은 import 문장을 통해 다른 모듈에서 불러올 수 있음 main 모듈: 최상위 수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 이름은 [파이썬 모듈 이름.py]의 형태임 모듈 안에서, 모듈의 이름은 __name__의 값으로 접근 가능함 [프로그램 설계] 대형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하나의 파일에 모든 내용을 구현한다면 작성과 관리가 매우 어려움 따라서 프로그램이 구현하는 내용들을 작은 단위로 쪼개서 각각의 함수로 구현하고, 이 함수들을 적당히 모아 모듈을 작성하는 것이 좋음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main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main() 함수는 각 하위 모듈을 활용해 전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최상위 모듈이라고 생각하면 쉬.. 2023. 10. 12.
[Python] 람다식 (lambda, 무명 함수) [무명 함수] 무명 함수: 이름은 없고 몸체만 있는 함수, lambda 키워드로 생성함 여러 개의 인수를 가질 수 있으나, 반환 값은 하나만 있어야 함 print()를 호출할 수 없으며, 계산만 가능함 자신만의 이름 공간을 가지고 있음 전역 변수를 참조할 수 없음 lambda 인수1, 인수2 : 수식 무명 함수의 예시 sum = lambda x, y : x+y print('정수의 합: ', sum(10, 20)) #정수의 합: 30 print('정수의 합: ', sum(20, 20)) #정수의 합: 40 위의 예시를 일반 함수로 다시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def sum(x, y): return x+y print('정수의 합: ', sum(10, 20)) #정수의 합: 30 print('정수의 합: ', .. 2023. 10. 12.
[Python] 함수 반환 값, return [함수 반환 값] 파이썬을 제외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함수가 항상 하나의 값을 반환함 그러나 파이썬에서는 함수가 하나 이상의 값을 반환할 수 있음 def sub(): return 1, 2, 3 a,b,c = sub() print(a, b, c) # 1, 2, 3 위의 코드에서, sub() 함수는 반환 값으로 1, 2, 3을 반환한다. 반환된 세 개의 값은 순서대로 변수 a, b, c에 할당된다. 2023.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