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ython33

[Python] 자료구조 - 튜플(tuple) 튜플(tuple) 튜플은 리스트와 아주 유사하지만,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자 특징입니다. 그렇다면 왜 변경도 안되는 튜플을 사용하는 걸까요? 리스트는 변경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실수로 요소가 추가하거나 삭제되거나 변경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변경되면 안되는 데이터는 튜플에 저장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튜플은 리스트에 비해 접근 속도가 빠릅니다. 그리고 튜플은 인덱스를 가지는 시퀀스 입니다. 따라서 인덱싱, 슬라이싱, 덧셈 연산, 곱셈 연산 와 같은 시퀀스 연산들이 적용 가능합니다. 튜플은 변경 불가능 변경되면 안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 유리함 리스트에 비해 접근 속도가 빠름 튜플은 인덱스를 가지는 시퀀스의 일종임 따라서 시퀀스 연산 가능: 인덱싱, 슬라이싱, 덧셈 .. 2023. 10. 30.
[Python] 자료구조 - 스택(stack), 큐(queue)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에서 많이 사용되는 자료구조 중 스택과 큐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택과 큐는 비슷한 듯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아래에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택(Stack) LIFO(Last In First Out): 말 그대로 마지막에 들어온 것이 가장 먼저 나간다. 즉, 들어온 순서의 반대로 나간다. 스택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푸시(push),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팝(pop)이라고 한다. 스택 구현 파이썬에서 스택을 구현할 때에는 리스트를 사용합니다. 리스트를 만든 다음, append() 함수를 사용에 값을 저장하고 pop() 함수를 사용해 값을 추출합니다. 이때, pop() 함수를 사용하면 빠져나온 값이 반환됩니다. a = [1, 2, 3, 4, 5] a.app.. 2023. 10. 29.
[Python] 파이썬 자료구조 종류 자료구조의 개념 자료구조(data structure): 데이터의 특징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특징이 있는 정보를 메모리에 효율적으로 저장 및 반환하는 방법으로써,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를 만든다고 할 때 전화번호와 전화번호의 주인 이름을 묶어서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그리고 어떤 숫자의 나열을 순서대로 저장했다가 저장된 순서대로 불러와야 할 때도 있고, 혹은 저장한 순서의 반대로 불러와야 할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를 고려하여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해야 효과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자료구조의 종류 자료구조의 종류만 먼저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자료구조 특징 리스트(list) 여러 개의 .. 2023. 10. 29.
[Python] 2차원 리스트 2차원 리스트 파이썬에서는 리스트를 2차원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행렬'을 생각하면 좋습니다. Li 라는 2차원 리스트를 만들었을 때, n 행 m열의 원소는 Li[n][m]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코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s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2023.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