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1 [Python] 파이썬 자료구조 종류 자료구조의 개념 자료구조(data structure): 데이터의 특징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특징이 있는 정보를 메모리에 효율적으로 저장 및 반환하는 방법으로써,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를 만든다고 할 때 전화번호와 전화번호의 주인 이름을 묶어서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그리고 어떤 숫자의 나열을 순서대로 저장했다가 저장된 순서대로 불러와야 할 때도 있고, 혹은 저장한 순서의 반대로 불러와야 할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를 고려하여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해야 효과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자료구조의 종류 자료구조의 종류만 먼저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자료구조 특징 리스트(list) 여러 개의 .. 2023. 10. 29. 패트스 캠퍼스 정주행, 딥러닝 강의 솔직 후기 패스트 캠퍼스 강의를 수강한 계기 '패스트 캠퍼스'. 많이 들어 봤던 이름이다. 전산학과가 아닌 내가 학점을 채우기 위해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에 관한 대학원 수업을 들으며 여기저기 온갖 인터넷 세상을 기웃거리던 때가 있었다. 그리고 코로나 전~코로나 한참 시기쯤 해서 '개발자'라는 직업의 인기가 하늘 높은줄을 모르고 치솟던 시기도 있었다. 그때 '개발자'라는 직업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기관에서 너도나도 광고에 '비전공자도 n개월 만에 네카라쿠배당 개발자 가능!'과 같은 식의 멘트를 사용하곤 했다. 지금도 개인적으로는 당시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지만, 겉핥기 식으로 '코딩'만 배우는 사람과 컴퓨터공학을 배우고 '프로그램 설계 및 작성'을 할 줄 아는 사람은 하늘과 땅 차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더더욱 비전공.. 2023. 10. 27. [Python] 2차원 리스트 2차원 리스트 파이썬에서는 리스트를 2차원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행렬'을 생각하면 좋습니다. Li 라는 2차원 리스트를 만들었을 때, n 행 m열의 원소는 Li[n][m]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코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s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2023. 10. 22. [Python] 리스트 함축, 리스트 함축 형식, 리스트 함축 방법 리스트 함축(list comprehensions) 파이썬에서는 리스트 함축 개념을 지원합니다. 일반적으로 리스트를 생성할 때는 [ ] 괄호 안에 값을 하나씩 입력합니다. 그런데 만약 리스트 원소들 사이의 관계를 특정 함수로 정의할 수 있다면, 우리는 함수를 입력하여 리스트를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학교에서 배우는 '집합'을 정의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집합을 정의하는 방법으로는 '원소나열법'과 '조건제시법'이 있습니다. 원소나열법은 우리가 이제껏 해온 것 처럼 원소를 하나하나 나열하는 방식이고, 조건제시법은 이 집합 안에 들어갈 원소들이 어떤 조건을 가지는지를 제시하는 방식입니다. 리스트 함축 형식 compList = [expression for i in old_list if filter(i).. 2023. 10. 17. 이전 1 2 3 4 5 6 7 8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