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bVIEW/랩뷰 기초

랩뷰 기본 용어 6. 컨트롤, 인디케이터, 상수, 터미널, 노드 - 코드119

by 박사과정 모닝 2022. 6.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오늘은 랩뷰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만날 친구들을 가져왔습니다. 바로 컨트롤, 인디케이터, 상수, 터미널, 노드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이기 때문에 더더욱 이들의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컨트롤

랩뷰에서의 입력을 컨트롤이라고 합니다. 어떠한 함수에 값을 입력해줄 때에 우리는 이 컨트롤에 값을 입력하고, 컨트롤을 함수에 와이어링 함으로써 함수에 값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은 대부분 프런트패널에서 밝은 색의 상자로 나타납니다.

 

2. 인디케이터

랩뷰에서의 출력을 인디케이터라고 합니다. 계산을 하거나, 통신을 하는 등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를 실행하고 나면 그 실행의 결과가 출력됩니다. 이때 해당 함수에 인디케이터를 연결함으로써 인디케이터에 결과를 출력하여 볼 수 있습니다. 인디케이터는 대부분 블록다이어그램에서 컨트롤에 비해 어두운 색의 상자로 나타납니다.

 

프론트패널의 숫자형 컨트롤, 인디케이터

3. 상수

랩뷰에서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합니다. 상수라고 적혀 있지만 숫자형 뿐만 아니라 문자, VISA, 경로, 열거형 등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상수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수는 블록다이어그램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터미널

랩뷰의 프런트패널에서 컨트롤 또는 인디케이터를 생성하면, 블록다이어그램에 이들과 1:1로 고유하게 매칭되는 어떠한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프런트패널에서 컨트롤 또는 인디케이터를 더블 클릭하면 블록다이어그램의 터미널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블록다이어그램에서 터미널을 더블클릭해도 해당 터미널과 매칭되는 컨트롤 또는 인디케이터로 이동합니다. 터미널의 경우 블록다이어그램의 함수 가장자리에 입출력 부분에서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바로가기 메뉴를 펼치고, 바로가기 메뉴에서 '컨트롤 생성', '인디케이터 생성', '상수 생성' 등의 메뉴를 선택하여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입출력 부분에 연결된 상태로 터미널이 생성됩니다.) 이때 동시에 프런트패널에도 컨트롤 또는 인디케이터가 생성되지만, 상수를 생성한 경우에는 프런트패널에 매칭되는 상수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블록다이어그램의 숫자형 컨트롤, 인디케이터, 상수의 터미널

5. 컨트롤, 인디케이터, 상수의 변환

컨트롤, 인디케이터, 상수는 블록다이어그램에서 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블록다이어그램에서 해당 터미널의 바로가기 메뉴를 펼치고, '컨트롤로 변경', '인디케이터로 변경', '상수로 변경'을 클릭하여 서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또한 각각의 터미널에서 바로가기 메뉴를 펼쳐 컨트롤, 인디케이터, 상수 생성을 클릭하여 각각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6. 노드

랩뷰에서 입력 또는 출력을 가지고 있는 블록다이어그램의 객체를 노드라고 합니다. 블록다이어그램의 빈 공간에 마우스를 우클릭하면 펼쳐지는 함수 팔레트에서, 상수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함수를 의미합니다. 또한 SubVI, 구조(이벤트 구조, While loop, For loop 등) 등도 모두 노드입니다. 간혹 파란 배경을 가진 큰 노드가 있는데, 이들을 '익스프레스 노드'라고 합니다. 이들을 더블 클릭하면 대화 상자 형식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초보자들이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Vision acquisition, Vision assistant, DAQ와 관련된 익스프레드 노드 등이 있습니다.

 

블록다이어그램의 다양한 노드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