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bVIEW/랩뷰 기초

랩뷰 데이터 타입 1: 숫자형, 문자열, 불리언-코드119

by 박사과정 모닝 2022. 11. 18.
반응형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모닝입니다.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랩뷰 또한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합니다. 아마 대부분 프로그래머들에게 익숙한 데이터 타입들이라 이번 페이지는 쉽게 공부하실 수 있을 듯 합니다. 그럼 오늘은 숫자형, 문자열, 불리언 타입을 알아보겠습니다.

 

1. 숫자형

숫자형은 크게 소수점의 유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소수점이 있는 실수형 타입은 와이어와 터미널이 주황색 입니다. 실수형은 차지하는 메모리 사이즈에 따라 EXT, DBL 등 표현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숫자의 범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소수점이 없는 정수형 타입은 와이어와 터미널이 파란색 입니다. 색깔만 보고도 현재 데이터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수형의 경우 음수/양수/0을 모두 포함하는 일반 정수형이 있고, 음수를 제외한 양의 정수형 타입이 따로 있습니다. 

정수형, 소수형 외에는 복소수 형의 숫자 데이터 타입을 지원합니다.

터미널 자체의 데이터 타입을 바꾸기 위해서는 숫자형의 터미널에서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바로가기메뉴에서 '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의 데이터 타입은 유지하되 터미널 출력의 데이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고 싶으면 블록 다이어그램의 함수 팔레트에서 [숫자형 > 변환] 탭에서 원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변경하기 위한 함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랩뷰 데이터 타입, 숫자형

 

2. 문자열

문자열 데이터 타입의 터미널과 와이어는 분홍색입니다. 문자열 데이터 타입은 말 그대로 '문자'입니다. 문자열 데이터 타입의 터미널에 숫자를 입력하더라도 이는 숫자가 아니라 '문자'입니다. 랩뷰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통해 문자를 다양한 형태의 숫자로 변환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합니다. 이는 함수 팔레트의 문자열/숫자 변환 팔레트에서 변환 함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문자를 이리저리 수정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함수들이 있으니 기본 도움말을 참고하여 필요한 기능을 둘러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랩뷰 데이터 타입, 문자열

 

3. 불리언

불리언의 터미널과 와이어 색깔은 초록색입니다. 불리언은 참/거짓 데이터 입니다. 상수를 생성하면 참의 경우 T (True), 거짓의 경우 F (False)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불리언의 동작은 스위치와 래치로 나뉩니다. 만약 어떤 버튼을 누른다고 가정할 경우, 버튼을 누르고 손을 떼더라도 버튼이 계속 눌러져 있다면 '스위치' 동작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손을 떼었을 때 스위치도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면 '래치'동작을 의미합니다. 불리언의 스위치/래치 동작은 [바로가기메뉴 > 기계적 동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불리언의 기계적 동작 설정이 래치인 경우 로컬 변수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흔히 하는 실수이니 꼭 기억해 두세요!)

랩뷰 데이터 타입, 불리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