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

[C언어] 실수형 상수 - 코드 119

by 박사과정 모닝 2023. 4. 18.
반응형

▶실수형 상수

  • 실수형 상수: float형 또는 double 형으로 선언한 변수에 대입하는 상수
  • 실수형 상수는 소수점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수에 따라 변함. 따라서 부동(floating) 소수점 상수라고도 불림
  • 실수형 상수의 지수형 표기
    • 실수형 상수를 지수형으로 표기할 때에는 e 또는 E를 사용해 유효 숫자를 나타내는 가수부와 자릿수를 나타내는 지수부를 분리해서 표현함

▶float형 실수형상수

  • float형 실수형 상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에는 32비트가 할당됨.
  • 이 32비트는 부호 비트 1비트, 지수부 8비트, 가수부 23비트로 구성됨
float f_const;
f_const = 123.456F;

 

▶double형 실수형상수

  • double형 실수형 상수는 메모리 공간을 가수부와 지수부로 구분하여 실수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함
  • double형 실수형 상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에는 64비트가 할당됨.
  • 이 64비트는 부호 비트 1비트, 지수부 11비트, 가수부 52비트로 구성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