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

[C언어] 상수 - 코드 119

by 박사과정 모닝 2023. 4. 17.
반응형

▶상수(Constant)

  • 상수란 변수에 대입되는 값으로서 프로그램 실행 중에 값이 변하지 않는 데이터
  • C언어에서는 정수형 상수, 실수형 상수, 문자형 상수, 문자열 상수, 기호 상수(#define)를 제공함
  • 상수의 종류는 대입되는 변수의 자료형과 초기화 방법에 따라 결정됨
  • 문자를 작은따옴표(' ')로 묶어주면 문자형 상수
  • 문자를 큰따옴표(" ")로 묶어주면 하나의 문자라도 문자열 상수

 

▶정수형 상수

  • 정수형 상수: 소수점 없이 정수형 자료형으로 선언한 변수에 대입되는 값
  • 모든 정수형 상수 앞에는 +/-의 부호를 붙일 수 있음
  • 정수형 상수 앞에 부호를 생략하면 양의 정수로 간주됨
  • 정수형 상수는 진법에 따라 10진(decimal), 8진(ontal), 16진(hexa) 상수로 구분됨
  • 숫자 뒤에 알파벳 대문자 L 또는 소문자 l을 붙이면 long형 상수로 정의 가능
자료형 접미사 예시
unsigned init U or u 123U or 123u
long L or l 123L or 123l
unsigned long UL or ul 123UL or 123ul

 

▶정수형 상수의 진법

  • 10진수에 대한 2진수, 8진수, 16진수 표현은 아래 표와 같다. 
10진수 2진수 8진수 16진수
0 0000 0000 0000 0000 00 0x0
1 0000 0000 0000 0001 01 0x1
2 0000 0000 0000 0010 02 0x2
3 0000 0000 0000 0011 03 0x3
4 0000 0000 0000 0100 04 0x4
5 0000 0000 0000 0101 05 0x5
6 0000 0000 0000 0110 06 0x6
7 0000 0000 0000 0111 07 0x7
8 0000 0000 0000 1000 010 0x8
9 0000 0000 0000 1001 011 0x9
10 0000 0000 0000 1010 012 0xA
11 0000 0000 0000 1011 013 0xB
12 0000 0000 0000 1100 014 0xC
13 0000 0000 0000 1101 015 0xD
14 0000 0000 0000 1110 016 0xE
15 0000 0000 0000 1111 017 0xF
  • 2진수는 0과 1만 사용
  • 8진수는 0~7까지 8개 숫자 사용, 상수 앞에 숫자 0을 붙임
  • 16진수는 0~9까지 숫자와 알파벳 대문자 A~F 또는 소문자 a~f 사용, 상수 앞에 0X 또는 0x을 붙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