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수형 변수
1. 실수형 변수
- 실수형 변수는 소수점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저장 공간임.
- 컴퓨터에서는 기본적으로 소수점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수점 위치를 그때그때 지정하여 나타내는 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 방식으로 실수를 표현함.
- 실수형 변수에 저정할 수 있는 값의 유효 범위는 변수를 선언할 때 지정하는 자료형에 따라 달라짐. 선택한 자료형에 따라 메모리 공간이 달라지고, 메모리 공간에 따라 유효 범위가 결정됨.
2. 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형
- float: 떠서 움직인다. 즉,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떠서 움직인다는 의미임
- 가수 부분과 지수 부분을 표기하는 과학적 표기법과 비슷함
- ex) 1.2345 × 10^2
- 과학과 공학에서 요구되는 큰 수를 높은 정밀도로 표현할 수 있음.
- 표현할 수 있는 숫자의 범위가 매우 큼
- float 형의 경우 가수 부분은 6자리의 10진수, 지수 부분은 10의 -38제곱부터 38제곱까지 표현됨
- double 형의 경우 가수 부분은 16자리의 10진수, 지수 부분은 10의 -308제곱부터 308제곱까지 표현됨
- 고정 소수점에 비해 계산 속도는 느린 편이지만, 현대의 컴퓨터로는 큰 차이가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며 표현 범위의 장점으로 인해 많이 사용됨
3. 고정 소수점(fixed point)형
- 소수점의 위치를 처음부터 정해두고, 정수 부분을 위하여 일정 비트를 할당하고 소수 부분을 위하여 일정 비트를 할당함.
- 표현할 수 있는 숫자의 크기와 정밀도가 제한적임.
반응형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실수형 변수의 출력 범위 - 코드 119 (0) | 2023.01.10 |
---|---|
[C언어] 정수와 정수 나누기, 정수와 실수 연산, 캐스팅 - 코드 119 (0) | 2023.01.10 |
[C언어] 스택 메모리 구조, LIFO, FIFO - 코드 119 (0) | 2023.01.10 |
[C언어]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 코드 119 (0) | 2023.01.10 |
[C언어] 정수형 변수 - 코드 119 (0) | 2022.12.17 |